a calculator app on a smartphone with tax documents on the table

2026년부터 미국에서 해외로 현금을 보내는 사람은 1%의 새로운 연방세를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바로 트럼프의 새로운 해외송금세 때문입니다. 하지만 은행 계좌나 앱을 이용하면 세금을 피할 수 있는 방법도 존재해요.

이번 글에서는 미국 해외 송금세 정책 배경부터 세금 피하는 방법, 그리고 가장 합리적인 송금 팁까지, 한인 이민자를 위한 정보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해외송금세란?

2025년 7월, 미국 상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One Big Beautiful Bill (OBBB)’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안은 복지, 이민, 세금 정책 전반을 다루며, 그중 하나가 바로 해외 현금 송금 시 1% 세금을 부과하는 Federal Excise Tax on Outbound Remittances (해외송금세) 정책입니다.

1) 해외송금세 정책 주요 내용

  •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
  • 미국 내에서 외국으로의 현금 기반 송금에 1% 연방세 부과
  • 이 세금은 송금업체가 송금 시점에 징수하여 국세청(IRS)에 납부함
  • 해당 금액은 서비스 수수료와는 별개로 추가로 부과

2) 적용 대상

  • 미국 시민권자, 영주권자, 비자 소지자, 불법 체류자 포함
  • 미국에서 현금, 머니오더, cashier’s check 등 전자 방식이 아닌 방법을 통해 해외로 돈을 보내는 경우
  • 가족, 교회, 사업 파트너에게 송금하는 모든 경우 포함

“미국에서 현금으로 해외에 돈을 보낸다면 세금 부과 대상”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해외송금세는 한국 미국 송금에도 적용될까요?

아니요. 트럼프 송금세 정책은 미국에서 해외로 보내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즉, 한국에 있는 가족이 미국에 있는 나에게 송금할 때는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송금 방향예시과세 여부
미국 → 한국현금으로 부모님께 송금✅ 있음
한국 → 미국누나가 미국으로 송금❌ 없음

한국에서 보내는 송금에는 미국 해외송금세법의 영향이 전혀 없습니다.


2. 은행 이체나 송금앱도 과세 대상일까요?

아닙니다! 해외송금세 정책에서는 이 부분을 확실히 하고 있어요. 전자 기반 송금(ACH, 카드, 은행 송금)은 세금이 면제됩니다.

1)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전자 송금 예시:

  • 은행 송금 (wire): Chase, Bank of America, Wells Fargo 등 은행을 통한 송금
  • ACH 이체 (체킹 계좌 연동) 송금: Wise, Remitly 등의 송금 서비스로 ACH 이체하여 송금
  • 카드 결제: Remitly나 Western Union(온라인) 등을 통해 데빗 또는 크레딧 카드로 송금액을 결제하여 송금
  • 앱 기반 송금: Zelle, PayPal, Venmo (은행 연결 시)

이처럼 은행 계좌나 카드로 전자 송금을 하면 새로운 해외송금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2) 세금이 부과되는 송금 방식 예시:

  • 현금 송금 (방문): Western Union 오프라인 지점 방문
  • Money Order (우편환): USPS 머니오더 구매 후 해외 송금
  • Cashier’s Check (보증수표): 은행에서 수표 발급 후 해외 우편 발송
  • 현금 위탁 송금: 비공식 송금소(예: 한인마트 내 송금소)를 통한 현금 해외 송금 등

이러한 송금 방법은 추적이 어렵고 문서화에 취약한 것으로 간주되어 연방 정부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앱이나 은행 이용이 불가능한 일부 이민자나 노년층은 별도의 대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한국 이민자들에게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1) 실제 송금 비용 변화

예를 들어, 현금으로 $3,000을 Western Union을 통해 한국 부모님께 보낼 경우,

  • 세금: $3,000 x 1% = $30
  • 기본 수수료: $30~$75
    ➡ 총 $60~$105 추가 비용 발생

매달 송금하는 경우, 연간 수백 달러가 새어나갈 수 있습니다.

2) 이런 분들은 특히 유의하세요

  • 미국에 갓 도착해 은행 계좌가 없는 초기 이민자
  • 불법 체류로 현금만 사용하는 분
  • 한인 교회, 봉사 단체 등에서 수시로 송금하는 경우
  • 고령 부모님이 오프라인 송금에 익숙하신 경우

4. 해외송금세 도입 배경과 전문가들의 우려

정부의 해외송금세 정책 도입 배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 불법 이민 억제
  • 미국 내 자금 유출 방지
  • 세수 확보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정책에 대해 아래와 같은 우려를 제기하기도 하죠.

  • 일반적으로 송금은 이미 정착한 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외 송금세가 불법 이민을 억제하는 효과는 거의 없음
  • 단순히 해외에 있는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저소득층과 합법적인 이민자에게까지 부당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제도권을 벗어난 비공식 송금(현금, 암호화폐 등)이 증가해 규제나 보안을 더욱 어렵게 만들 위험이 있음
  • 결과적으로 세수 확보 효과도 미미하거나 역효과 가능성

1%의 세금은 작게 느껴질 수 있지만, 기존 평균 수수료(~6%)와 합치면 총 송금 비용이 유엔에서 권장하는 3% 상한선을 훨씬 뛰어넘게 될 수 있습니다.


5. 해외송금세를 피하면서 합법적이고 저렴하게 송금하는 법

다행히도 해외송금세를 내지 않고도 간단하게 한국으로 송금이 가능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아래 방법들을 확인하시고 세금 없이 송금하세요.

1) 전자 방식으로 송금하세요

  • 아직 미국 체킹 계좌가 없다면, 미국 은행 계좌 개설 후 → 체크카드 연결
  • 송금 시 현금 대신 은행 계좌 또는 카드 사용
  • Wise, Remitly, 또는 은행 온라인 송금 포털 사용

💡 합법적인 서류가 없더라도 ITIN이나 대체 신분증으로 계좌를 열 수 있는 신용조합이나 Fintech 플랫폼이 존재합니다.

2) 합리적인 송금 서비스 비교

서비스장점방식수수료 (대략)
Wise투명한 환율, 저렴ACH(은행 이체) / Wire0.4–1%
Remitly빠른 송금ACH(은행 이체) / 카드$2.49
WireBarley낮은 수수료, 쉬운 이체ACH(은행 이체)$0–5
은행 Wire고액 송금, 안정성SWIFT Wire (해외 송금)$30–45

📌 빠른 송금을 원하시면 카드를 통해 Remitly Express 송금이 유리하고, 장기적 비용 절감을 원하시면 Wise의 Economy ACH를 통한 송금이 유리합니다. 보안이 우위라면 송금 수수료는 조금 비싸지만 은행 송금이 가장 안전합니다.

3) 현금 기반 방문 송금 서비스 피하기

  • Western Union에 직접 방문하여 현금으로 송금하는 경우 송금세를 지불해야 하니 온라인을 활용하세요.
  • 현금 또는 money order만 받는 송금 대행업체는 피하세요.
  •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cashier’s check는 사용을 자제하세요.

4) 해외송금세 계산 실제 예시: $1,000 한국 송금 비교

방식과세 여부예상 수수료총 지불금액 (USD)비고
Western Union (현금 방문 송금)✅ 있음$30–$75 + 1% 세금 ($10)$1,040–$1,085수수료 + 세금 + 낮은 환율로 불리함
Wise (은행 ACH 이체)❌ 없음약 $9$1,009투명한 수수료, 실시간 환율 반영
은행 Wire 송금 (Chase 등)❌ 없음$30–$45$1,030–$1,045수수료 높지만 안정적
Remitly (카드/계좌 이체)❌ 없음$2.49$1,002.49빠르고 저렴, 첫 송금 수수료 면제 가능

작은 차이인 것 같지만, 1년, 3년이 되면 수백~수천 달러로 누적됩니다. 특히 매달 송금하시는 분들, 큰 금액을 송금하시는 분들은 차이가 더 크겠죠. 물론, 적용되는 환율에 마크업이 다르게 붙게 되므로 실제 ‘송금 받는 금액’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고려하셔야 합니다.

더 저렴하고 안전하게 송금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리해 볼게요!


맺으며: 정보를 아는 사람이 돈을 아낍니다

2026년부터 시작될 해외송금세 정책은 정부가 해외 송금 흐름을 더욱 엄격하게 추적하고 규제하고자 한다는 분명한 신호입니다. 하지만, 꼭 추가 세금을 더 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에요.

‘전자’와 ‘현금’ 송금 방식의 차이에 따라 세금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은행 계좌, 카드, 앱 기반 송금만 이용해도 세금 없이 저렴하고 안전하게 송금할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Share via:

Similar Posts